산조(散調) 이야기
산조(散調)란 독주곡을 말합니다. 산조는 시나위 가락에서 발전되어 생긴 기악곡입니다. 산조는 보통 3악장으로 연주되는데, 느린 장단에서 시작되어 점점 빠른 장단으로 변화되어 연주됩니다. 기본장단은 진양조, 중모리, 자진모리인데, 중모리와 자진모리 사이에 중중모리와 엇중모리가 들어가기도 하고, 자진모리 다음에 더욱 빠른 휘모리와 단모리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다만, 거문고는 빠른 가락 표현이 쉽지 않을뿐만 아니라, 악기의 특성상 어울리지 않기 때문에 휘모리, 단모리와 같은 빠른 장단은 쓰지 않습니다. 산조의 틀, 즉 형식을 최초로 완성한 사람은 전라남도 영암(靈巖)출신의 김창조(金昌祖:1865~1911)라고 합니다. 김창조는 가야금은 물론, 거문고, 양금, 피리, 해금, 퉁소 등 대부분의 중요 국악기에 통달한 음악가로, 19세기 말엽에 가야금으로 산조형식을 완성하였다 합니다. 당시의 가야금 산조는 악보는 없고, 더욱이 녹음기가 없던 시절이라 그 가락이 어떤 것인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그의 문하에서 가야금 산조의 대가 한성기(韓成基), 최옥삼(崔玉三), 강태홍(姜太弘), 김종기(金鐘基), 안기옥(安基玉) 등이 배출되어 이들 가락이 지금까지 전해져 오고 있습니다. 이들 산조는 각기 독자적인 가락으로 발전되어 왔지만, 더러 공통된 가락도 있고, 가락의 주된 흐름이 유사한 것이 꽤 되며, 음악의 짜임새, 즉 구성방법이 특히 진양조에 있어서 같기 때문에, 이들 산조가 다 같이 김창조 산조로부터 변형·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고, 그 원형이었던 김창조 산조가 이미 상당한 예술성을 지니고 있었음을 확신케 해줍니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산조의 길을 처음 연 것은 가야금입니다. 가야금에서 시작된 산조는 이후 거문고 산조, 퉁소 산조, 대금 산조, 피리 산조, 해금 산조, 아쟁 산조 등으로 확대됩니다. 거문고 산조를 처음 만든 것은 백낙준이라는 분입니다. 거문고는 당시만 해도 선비들이 즐겨 타던 품위있는 악기였습니다. 그래서 거문고를 백악지장(百樂之將)이라 했지요. 즉 모든 음악을 지휘하는 장군이라는 뜻입니다. 그런 장군이 산조같은 저속한 음악을 할수 있는가 하는게 당시 통설이었습니다. 그러나 선비가 거문고의 이치를 알면 민중도 그 이치를 아는 법. 시나위판에서 거문고를 타던 백낙준은 이런 통설을 과감히 깨고 거문고 산조를 만들었던 것입니다. 백낙준이 만든 거문고 산조는 일제시대를 거치면서 박석기와 김종기에게로 이어지고, 다시 한갑득, 신쾌동, 김윤덕에게로 이어집니다. 박종기는 젓대를 하도 목이 메이게 불어 피를 토하고 죽었다고 합니다. 젓대는 대금을 일컫는 것입니다. 박종기가 붉은 피를 한 움큼 쏟아내고 죽은 그 자리에 젓대산조가 피기 시작했다고 전해지지요. 한주환 그리고 한범수로 이어지고 다시 서용석, 김영동 그리고 이생강으로 이어집니다. 해금은 묘한 악기입니다. 앙증맞은 애첩이 앙탈을 부리는 애교넘친 소리 같기도 하고 거지들의 동냥소리같이 처량하기도 하고, 굿판에서 신바람이 붙은 소리같기도 합니다. 그래서 해금은 아주 섬세한 표현과 해학적인 표현 그리고 신명난 표현에 다재다능한 악기입니다. 지영희는 경기지방의 굿가락을 근간으로 독특한 지영희류 해금 산조를 만들었고, 한범수는 전라지방의 굿가락을 근간으로 한범수류 해금 산조를 만들었습니다. 이들 해금 산조는 신청에서 신명을 내는 무당의 춤바람만큼이나 신에 겨운 가락입니다. 이외에도 아쟁, 퉁소 그리고 단소 산조 등등이 있는데 아쟁산조 외에 퉁소나 단소산조는 안타깝게 전하지 않고 있습니다.
시나위 이야기
시나위는 원래 죽은 사람을 위한 굿판 음악의 하나입니다. 시나위 가락에 저승으로 간 사람을 부르는 듯한 목소리가 더해지면 "구음시나위"가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시나위 가락은 서러움을 그 주된 정조로 하고 있습니다. 즉흥 음악인 시나위는 일정한 장단의 틀 안에서 각각의 악기가 자유스럽게 자신의 선율을 연주합니다. 장단이 풀리면 연주자들이 마음대로 자신의 선율을 가져가다가, 장구가 일정한 장단을 이끌면, 조심스럽게 약속된 음악으로 통일시켜 나갑니다. 거문고가 앞으로 나오면 나머지 악기들이 뒤로 물러나고, 대금이 나오면 장구만이 그 선율을 따라가며 다른 길로 비켜나가지 않게 지켜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나위 음악의 두 축을 '자유'와 '조화'의 정신이라 일컫는 것입니다. 시나위 음악에는 지휘자가 없습니다. 음악의 시작과 끝 조차 없는 것이지요. 각 악기가 자신의 연주를 하고 다른 악기들은 또 한 연주로 서로를 지탱해 줍니다. 악보가 없는 것은 물론이구요. 무대에서 감상용 음악으로 연주되는 시나위 합주는 많은 시나위 가락에서 어느 정도 미리 짜서 구성한 것으로, 중모리·굿거리·중중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가락을 구성하며,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피리·대금·해금·장구, 또는 여기에 가야금·거문고·아쟁·징까지 첨가되기도 하는데, 악기 편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때로는 구음(口音) 시나위라고 하여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날의 시나위는 더욱 풍부한 음향을 가지게 된거지요. 시나위를 합주로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며 오늘날 시나위라고 하면 흔히 감상용 시나위 또는 무용의 반주에 쓰이는 시나위를 말합니다. 시나위 합주에서는 연주자들의 즉흥성이 많이 요구됩니다. 각 악기들은 육자배기토리와 일정한 장단을 토대로 하여 각자 즉흥적인 음악을 만들어 갑니다. 그 결과로 각 악기들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은 다성적인 진행이 이루어진다. 무대에서 연주하는 시나위 합주는 그 가락을 미리 구상하여 연습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즉흥음악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무대에서 연주하는 경우라도 연주자들이 악보에 의존하지 않으며 미리 짠 가락이라고 하더라도 무대 위에서 연주자들의 기량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즉흥적인 음악의 좋은 예가 되고 있습니다. 무악 반주로서의 시나위 음악은 살풀이·도살풀이·불림·진양·안진반·덩덕궁이·시님장단 등의 장단에 의한 가락을 연주하고, 감상을 위한 시나위 또는 춤의 반주를 위한 음악은 살풀이와 덩덕궁이 장단에 의한 가락을 많이 연주하고 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