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개설 및 배경
  라흐마니노프는 모두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남겼다.
3번은 1907년에 작곡을 시작하여 1908년에 완성, 이듬해 그 자신의 연주로 초연한 작품이다. 대중적인 인기가 높은 2번에 비해 3번은 "세상에서 라흐마니노프만 연주할 수 있다"는 평을 들을 정도로 엄청난 기교를 요구하는 작품이다.

제 2 협주곡에 이어 많이 연주되는 제 3협주곡은 모든 면에 있어서, 제 2협주곡의 연장선 위에 있는 작품이라 하겠다.
자기의 스타일을 확립한 라흐마니노프가 충분한 여력으로 정성들여 완성시킨 곡이며, 세련된 수법을 찾아볼 수 있으나, 그런대로 개성적인 요소는 희박해진 느낌이 들지 않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개개의 가락은 아름답고, 전체에 감도는 감미로운 분위기와 러시아적인 정서, 피아노의 기교의 묘미는 이 곡을 매력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1906년부터 1908년까지 라흐마니노프는 독일의 드레스덴에 살면서 작곡에 몰두하였다.
이 시기의 작품으로는 교향곡 제 2번이나 괴테의 '파우스트'로부터 암시를 받아 작곡하였다는 피아노 소나타 제 1번, 독일의 화가 메크린의 회화에 의한 교향시 '죽음의 섬' 등이 그의 대표적 걸작이다.
피아노 협주곡 제 3번도 드레스덴에 머물고 있던 1907년데 작곡이 시작되었으며, 1909년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즉, 1908년에 러시아로 돌아온 라흐마니노프는 다음 해에 미국으로 연주 여행하여 보스턴 교향악단을 지휘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곳에서 피아니스트로서 출연하였으며, 그 사이에 이 협주곡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라흐마니노프는 3번을 미국 피아니스트이자 친구인 요셉 호프만에게 헌정 했는데, 그는 '나를 위한 곡이 아니다'며 연주를 시도하지 않았다.

1910년 11월 28일 발터 담로쉬가 지휘하는 뉴욕 필에 의해 라흐마니노프 자신이 직접 피아노 솔로를 맡아 초연했고, 구스타프 말러가 뉴욕 필과 카네기 홀에서 연주 1910년에 출판 됐다. 이 곡을 들은 피아니스트 아르투르 루빈슈타인은 곡의 장대한 길이와 테크닉적 어려움에 대해 조크를 던지며 코끼리 협주곡(Elephant Concerto)이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다.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은 고국 러시아의 깊은 우수와 아름다운 정취를 느낄 수 있는 곡이다.

3번은 2번 보다 음악적으로 한 걸음 더 나아 간 곡인데 초연 당시부터 이 협주곡은 연주 불가라는 판정을 받았지만 음악적으로 라흐마니노프는 2번 협주곡에서 제시한 문제들을 여기서 더욱 강한 표현과 기능으로 이끌어 내는데 성공했다.

구성과 특징
  1909년 라흐마니노프는 처음 미국을 여행했는데, 프로그램에는 신작 피아노 협주곡 3번이 포함되었었다.
그 작품은 그의 완전히 성숙한 멜로디 스타일, 풍부하면서도 변화무쌍하고 식견을 갖춘 오케스트라의 사용법, 그리고 큰 스케일의 구조에 대한 대단한 확신을 보여주고 있다.

아름답고 향수를 느끼에 하는 1악장 첫 주제는 너무나 명백히 러시아적이어서 라흐마니노프가 전용한 실재 민요같이 느껴진다.

"만약 이 주제는 작곡하는 데 있어 어떤 계획이 있었다면, 나는 오직 소리만을 생각했을 것이다.
나는 가수가 멜로디를 노래하듯 피아노로 멜로디를 노래하고 싶었다."
그 주체는 인상적인 응집력과 미묘한 미묘한 주제의 절충 관계, 넓고 풍부하게 변화하면서 카덴차에서 절정에 이르는 구성을 가진 작품으로 발전하였다.

2악장은 러시아의 동양적 특징을 나타내는 풍부한 음색이 나타나며, 특히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향취가 물씬 풍긴다. 여기에는 평화스런 고요함이 있지만, 거의꿑부분에 환상이 대조되는 순간 악장의 주제가 왈츠의 형태로 다시 나타난다.

같은 주제는 언터메초 뒤에 중단없이 연주되는 화려한 종악장에서 다시 들린다.
음악은 흥분되고 극적인 카덴차과 코다에서 클라이맥스에 이르는데, 끝분에서 피날레의 2주제가 너무나 광대하고 정려하게 울려 1주제에서 나타났던 고통과 그리움을 말끔히 잊게 한다.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텐토 D단조 4/4
  현과 파곳으로 속삭이듯 2 마디의 전주에 인도되어, 곧 피아노가 제 1주제를 옥타브로 연주한다. 이것은 차차 발전하여 평탄하게 계속 연주된다. 이윽고 주제는 관현악에 옮겨져, 피아노는 아르페지오로부터 꾸며지는 음형으로 발전한다.

제 1주제를 확보한 후, 클라리넷이나 호른에 새로운 동기가 나타나나, 이것은 뒤에 피아노의 거대한 화음으로 성장하고, 다시금 제 2주제의 소재가 되기도 하는 요소이다. 다음에 피아노 독주만의 카덴자가 삽입되어서, 또 다시 제 1주제가 관현악으로 다루어져서 서서히 가라앉고, 다시 화음이 관현악에 나타나서, 일단락 짓는다. 피아노가 이 악상을 되풀이 하고, 얼마동안은 양자의 경합으로 나아간다.

제 2주제는 1주제 후반의 멜로디가 성장한 것으로, 피아노의 오른손이 왼손의 펼침화음 위로 부드럽게 연주된다.
이 부분은 서정적인 전개를 보인 다음 고요해지고, 그대로 전개부에 계속된다. 전개부에서는 제 1주제가 여러가지 형태의 조성 속에서 변화를 붙여 다루어지고, 그 결과 피아노의 장식적인 음형 속에서 해소되어버려 피우 비보로 새로운 요소가 사용된다. 다음에 이 주제의 발전한 형태의 셋잇단음으로 리드믹한 알레그로의 악상이 계속되고, 강대한 음향을 구사하여 호화로운 전개가 펼쳐진다. 그리고 또다시 온화한 음악으로 되돌아 온 다음, 알레그로 몰토의 카덴짜가 들어온다.

이것은 물론 라흐마니노프의 작품이지만, 두 종류가 있으며, 어느 것이나 제 2주제에 의하고 있으나, 하나는 극히 비르투오조적인 것이고, 다른 하나는 약간 평범한 것이다. 이 뒤의 재현부는 전례처럼 거의 재현답지 않으며, 제 2주제도 없기 때문에 오히려 카덴짜 뒤의 코다같은 느낌을 준다.

오케스트라가 연주하는 서주부에 뒤이어 d단조의 장엄한 테마가 피아노로 나타난다.
그리고 제 2테마는 피아노 독주로 연주된다. 이것이 힘차게 다이내믹한 연주로 고조되어 나아간다. 다시금 새로운 변화를 보여 처음 시작하는 분위기로 돌아가는데 음악은 건축적이며 간결하다.
빠른 부분에서는 변주곡으로 변주되고 이것이 절정에 이르면 카덴차로 나타난다. 얼마 후 피아노의 제 2테마의 변형이 전개되며 카덴차는 끝나는데 처음 부분의 제 1테마가 다시 나타나고 뒤이어 제 2테마가 다시 나타나고 뒤이어 제 2테마의 동기에 의한 코다가 있은 후 웅대한 악장은 끝난다.

아름답고 향수를 느끼게 하는 1악장 첫 주제는 너무나 명백히 러시아적이어서 라흐마니노프가 전용한 실재 민요같이 느껴진다.

"만약 이 주제는 작곡하는 데 있어 어떤 계획이 있었다면, 나는 오직 소리만을 생각했을 것이다. 나는 가수가 멜로디를 노래하듯 피아노로 멜로디를 노래하고 싶었다."
그 주체는 인상적인 응집력과 미묘한 미묘한 주제의 절충 관계, 넓고 풍부하게 변화하면서 카덴차에서 절정에 이르는 구성을 가진 작품으로 발전하였다.

제2악장 인터메조-아다지오 A장조 4/4
  현에 암시된 악상이 하나의 주제가 되어 오보에로 연주된다.
이것이 아래가기 음형으로 안정되면, 셋잇단음으로 구성된 랩소딕한 악상으로 피아노가 곁들고, 내림 D 장조로 바꾸어져, 주제를 낭만적으로 다룬다. 이윽고, 아라베스크 음형을 거쳐, 짧은 카덴짜가 있고, 또다시 주제를 변주하는 악상이 피아노로서 나아간다.

다음에는 중간부에 해당하는 피우 비보로, 피아노의 왼손에 반음계적 글리산도 음형이 전개하고, 오른손에 힘찬 화음의 움직임이 나타나, 클라리넷과 파곳이 제 1악장의 제 1주제로부터 파생한 유연성이 있는 가락을 연주하고, 현이 피치카토를 새긴다. 이런 일이 있은 뒤, 아다지오가 되어 반음계적인 음형을 적당히 배치하여 피아노가 칸타빌레의 가락을 연주하여 중간부를 마친다.

처음의 템포를 약간 빠르게 한 형태로, 주제가 화성적으로 중후하게 다루어져서 피아노에 나타나고, 차차 발전하여 관현악과 피아노에 의한 웅대한 악상을 전개한 후, 피아노에 아라베스크 음형이 계속된다. 다음에 A장조로 되돌아 와서 섬세한 음표의 움직임으로부터 3/8 박자가 되어, 관현악에 예쁘장한 악상이 나타난다.
이윽고, 3/4 박자가 되어, 피아노가 늠름한 악상을 타고, 이것을 받아 관현악이 최초의 주제를 연주한 다음, 차차 가라앉은 곳에서 피아노가 카덴짜풍의 코다를 찬란히 연주하여, 힘찬 반마침으로 곡을 맺는다.

2악장은 러시아의 동양적 특징을 나타내는 풍부한 음색이 나타나며, 특히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향취가 물씬 풍긴다.
여기에는 평화스런 고요함이 있지만, 거의 끝부분에 환상이 대조되는 순간 악장의 주제가 왈츠의 형태로 다시 나타난다. 같은 주제는 언터메초 뒤에 중단없이 연주되는 화려한 종악장에서 다시 들린다.

음악은 흥분되고 극적인 카덴차와 코다에서 클라이맥스에 이르는데, 끝부분에서 피날레의 2주제가 너무나 광대하고 장려하게 울려 1주제에서 나타났던 고통과 그리움을 말끔히 잊게 한다.

이 3번 협주곡은 거의 작곡가의 2번 만큼이나 유명해졌으며, 많은 이들이 라흐마니노프의 문학에 대한 기여고 여기에 아끼고 있다. 오보에의 독주로 이 간주곡의 주요한 멜로디가 연주되는데, 현악기는 이를 반복한다. 다시금 관악기에 새로운 테마가 계속하는데 이는 현악기의 왈츠조로 반주된다. 이렇게 전개하다가 피아노의 힘찬 화음과 화려한 음의 움직임의 연속으로 발랄하게 끝난다.

제3악장 알라 브레브 -렌토 d단조 2/2. 소나타 형식
  제시부 제 1주제는 행진곡 풍의 관현악 리듬에 따라 피아노로서 기세좋게 연주된다.
주제는 발전과정에서 다른 요소를 등장시키나, 이것이 쌓여지듯 되풀이된 후, 또다시 첫머리의 주제에 의해 제 1주제의 확보가 행해진다. 이어서 피우 모소가 되어 피아노에 나타나는 싱코페이션을 가진 주제로 추이하고, 그것이 가라앉은 후, 피아노가 G장조의 서정적인 제 2주제를 마음껏 노래해간다.
이러한 수법은 제 2 협주곡 끝악장의 경우와 닮을 꼴이라 해도 지나친 말은 아니다. 이 주제가 수식되어 되풀이 된 후, 알레그로 몰토의 패시지가 되어 완만해지면서 제시부는 끝맺는다.

전개부는 내림E장조. 스케르잔도 4/4박자로 시작하여 관현악은 1주제의 변화된 악상을 연주하고, 피아노는 화려하게 꾸미며 나아간다. 이것이 최고조에 이르러서 피아노에 제 1악장의 제 2주제를 단축한 형태의 가락이 사용된다. 다시금 피우 비보로 활발해지며, 오로지 피아노만의 전개가 계속되고, 메노 모소 3/2 박자가 되어 이전의 가락이 확대되어 부드럽게 노래된다.
이것은 피아노로 다루어지기도 하고, 관현악에도 나온 후, 패시지 풍의 악상이 나오고, 그 다음에 몰토가 되어 본디의 모습을 찾아 피아노에 몰토 에스프레시보로 연주된다. 그 뒤에 극히 비르투오조적인 카덴자가 삽입되어 전개부는 끝난다.

재현부는 형식대로의 제시부와 요소가 그 차례로 재현하나, 제 2주제는 F장조로 다루어진다.
비바체의 패시지와 그 다음의 짧은 카덴짜가 있는 후, 코다에 들어가는데, 코다는 D장조, 6/4박자, 비바치시모의 대규모적인 것이다. 몰토 마르카토로 피아노가 호쾌한 악상을 전개하여, 알레그란도로부터 마지막은 셋잇단음으로 계속 돌진하여 프레스토가 되어 마무리짓는 듯한 센 연주로 곡을 맺는다.

글 출처 : 클래식 명곡 대사전(이성삼. 세광음악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