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마리아 줄리니(Carlo Maria Giulini, May 9, 1914 - June 14, 2005)
이탈리아 태생의 비올리스트이자 지휘자.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Carlo Maria Giulini)는 1914년 5월 9일, 이탈리아의 베로나 근교에 있는 바를레타(Barletta)에서 출생했다.

어릴 때부터 바이올린을 배웠고, 고향의 음악 학교에서 공부한 뒤에 로마로 가서 1930년, 성 체칠리아 음악원에 입학했다. 그는 이곳에서 레미 프린쉬페를 사사하여 비올라를 배웠고, 알레산드로 부스티니에게서는 작곡을 배웠다.

재학 중에 로마의 아우구스테오 관현악단에서 비올라 주자로 활동했는데, 그때 브루노 발터와 오토 클렘퍼러가 그 악단을 지휘했었다. 졸업한 뒤에 당시 아우구스테오 관현악단의 수석지휘자였던 베르나르디오 몰리나리(Bernardino Molinari)에게 지휘법을 사사했으나 제2차대전의 발발로 계획이 중단되었다.

제2차대전 동안은 병역에 복무했고 나치스에 의해 이탈리아가 강점당하자 정치적인 이유로 피신해야만 했다. 1944년, 이탈리아의 해방을 축하하는 기념 연주회가 아드리아노 극장에서 열렸다.

당시 그는 로마 성 체칠리아 음악원 관현악단을 지휘하면서 데뷔했는데 이 연주회가 대성공을 거두어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 결과 같은 해에 로마 이탈리아 방송 교향악단의 보조지휘자로 발탁되기에 이르렀고, 2년 후인 1946년 32세의 나이로 동 오케스트라의 음악감독 겸 수석지휘자로 임명되었다.

이때부터 심포니 지휘자로서의 그의 명성은 차츰 높아지기 시작했고, 또 롯시니, 베르디, 비제, 훔퍼딩크, 무소르그스키 등의 오페라 작품도 레퍼토리로 채택하여 맹렬한 활동을 벌였다. 그간에 1949년 베네치아 음악제, 1952년 피렌체 음악제에도 출연하여 지휘했다.

줄리니는 1950년엔 밀라노 방송 교향악단 지휘자로 자리를 옮겼다. 이때부터 유럽 여러 도시의 음악제를 중심으로 객원 지휘에도 나서게 되는 등 그의 성가를 높여 갔다.

1951년, 베르가모 음악제에서 베르디의 <라 트라비아타>를 지휘했는데, 이때의 프리마 돈나가 마리아 칼라스였다.

같은 해, 하이든의 오페라 <달의 세계, Il Moudo della luna>를 지휘했다.
때마침 그곳에 와 있던 토스카니니가 그 연주를 듣고 줄리니의 재능을 크게 칭찬해서 화제가 되었다.

이튿날 아침 줄리니의 집을 찾아간 토스카니니는 여러시간 얘기한 끝에 사제의 연을 맺게 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줄리니는 토스카니니의 문하에 들어가 지휘법을 연수하게 되었다. 이 사제의 정의는 토스카니니가 1957년 별세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1952년엔 파야(Manuel de Falla)의 오페라 <허무한 인생, La Vida Breve>을 지휘하면서 스칼라 가극장에 데뷔하여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그것이 계기가 되어, 1954년에 은퇴한 빅토르 데 사바타(Victor de Sabata)의 뒤를 이어서 스칼라 가극장의 수석 지휘자가 되었고, 1956년까지 이 자리를 지켰다. 특히 줄리니는 이 시기에 스칼라 극장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프랑스의 액상 프로방스 음악제, 네덜란드 음악제 등에서 지휘하여 유럽 악단에 그 이름을 떨쳤다. 특히 1955년 에든버러 음악제에서의 연주는 선풍적인 화제를 낳았고, 그때부터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레코딩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1956년부터 줄리니는 프리랜서로 활동하면서 뉴욕에서 이스라엘 심포니를 지휘하여 성공했고, 스페인 국립관현악단, 파리 관현악단 등을 지휘하였다.

1958년에는 런던의 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극장에서 비스콘티의 새로운 연출에 의한 베르디의 <돈 카를로>를 지휘, 절찬을 받았다.

1968년에 시카고 교향악단의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임명되어 상임 지휘자인 솔티를 잇는 활약을 보였다.

1973년엔 빈 교향악단의 수석 지휘자로 영입되었고, 1976년, 에리히 라인스도르프에게 그 자리를 물려 줄 때까지 수석 지휘자의 자리를 지켰다.

그 후에도 그 오케스트라의 간청으로 1980년까지 수석 객원 지휘자로 머물러 있었다.

1978년 10월 뉴욕 필하모닉으로 떠난 주빈 메타의 뒤를 이어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니의 음악 감독으로 취임하여, 세계 악단의 주목을 끌었는데, 취임하자 곧바로 맞이한 시즌에서 개막 공연을 베토벤의 <제9번 교향곡>으로 장식하여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그 후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니에서의 평가가 점차 높아지자 레코드에 대한 평가도 급속히 높아져 거장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또한 1982년에는 오래간만에 오페라에의 컴백을 했고, 코벤트 가든 왕립 오페라 극장에서의 제피렐리 연출에 의한 베르디의 <팔스타프>의 평판은 뜨거웠다. 1982년에는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을 이끌고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좋은 연주를 들려주기도 했다. 그는 1984년까지 로스엔젤레스 필하모닉을 이끌었으며 1988년에서야 지휘봉을 내리고 은퇴하였다. 그후 이탈리아 밀라노 근교의 브레시아(Brescia)에서 말년을 보내다 2005년 6월 14일, 91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는 매우 신중한 지휘자이다.
그는 작품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을 때에는 결코 지휘를 하지 않았고 그것을 자기 것으로 체계화하기 전까지는 결코 한번도 레파토리로 삼지 않는 철저한 완벽주의적인 지휘자이다.

이 때문에 그는 실력에 비해 비교적 늦게 세계에 알려졌다.
반면 그러한 이유로 인해 일단 그의 지휘에 빠지게 되면 그 깊이와 신중함에 매료될 수 밖에 없다.

일부 평론가들은 그를 가리켜 토스카니니 이래 이태리가 배출해 낸 최고의 지휘자로 평가하기도 한다. 그의 지휘는 구성력이 풍부하고 강인하며 스케일이 큰 표현으로, 정열과 지성이 교묘하게 융합된 연주 속에는 이탈리아 사람이 아니고는 할 수 없는 노래와 풍부한 음악이 항상 저류에 있다.

줄리니의 지휘는 우선 밝고 청신한 표현을 가지고 있다.
명쾌하고 발랄한 리듬감과 박력있는 극적 표현은 스케일이 큰 음악을 이룬다.
또한 이탈리아인 특유의 선율의 엮음새도 뛰어나고 매우 색채적인 느낌도 없지 않다. 그는 오페라 지휘자로서도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으며 종교음악의 대곡에서도 그의 특색이 잘 드러나고 있다.

줄리니는 전형적인 대기만성형의 지휘자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가 지휘자로 공식 데뷔한 나이가 30세인데, 이것만으로도 그의 출발이 꽤 늦은 것으로 여겨지는 데다 교향악단의 포스트를 처음으로 차지한 때가 32살이라는 사실도 다른 지휘자(성공한 대부분의 지휘자들)에 비해서는 상당히 늦깎이에 속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오늘날에 와서 그에게 내려진 평가는 토스카니니 이후 이탈리아가 배출시킨 가장 걸출한 지휘자라는 것이다. 실제로, 그 어떤 지휘자에게도 그와 같은 카리스마적 이미지로 회자(膾炙)되는 인물이 드물다.

뛰어난 구성력과 웅대한 스케일로 표현되는 그의 음악을 듣고 있노라면 그에 대한 카리스마적 세평(世評)이 결코 과장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의 음악은 정열과 지성이 교묘한 융화를 이루고 있을 뿐 아니라 역시 이탈리아 출신답게 유려한 노래가 바탕을 이루고 있어서 대중적 친화력에 있어서도 단연 돋보이는 지휘자인 것이다.



줄리니가 남긴 레코드로는 근년에 녹음한 모두가 경청할만한 명연주라 하겠는데, 말러의 <교향곡 제9번>, 드보르작의 <교향곡 제8번, 제9번>, 베토벤의 <교향곡 제3번, 제6번>, 슈베르트의 <교향곡 제4번, 제8번, 제9번>, 무소르크스키의 <전람회의 그림>, 브리튼의 >세레나데>(모두 그라모폰) 등은 어느 것이나 순음악적인 엄숙하기까지 한 연주이다.

그 중에서도 더욱 훌륭한 것은 베르디의 오페라 <리골레토]> 전곡반(그라모폰)이라 하겠는데, 가수에서 오케스트라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완벽하게 장악,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으로 일관된 지휘봉이 조그마한 타협도 허락하지 않고 생명력이 충만한 연주로 이끌어 압도적인 설득력을 가지고 감동으로 유도한다.



또한 정신성이 깊고 장대한 브루크너의 <교향곡 제9번>, 바이올리니스트 펄먼과 협연한 브람스의 <바이올린 협주곡>(모두 에인절)도 다른 것과 비교할 수 없는 명연주다.

소프라노 슈바르츠코프, 메조소프라노 루트비히, 테너 게다, 베이스 기아우로프 등에 의한 베르디의 <레퀴엠>과 알토 베이커에 의한 베르디의 <성가 4편>도 대표적인 명연반이다.

오페라 전곡반으로는 소프라노 슈바르츠코프와 바리톤 타테이 등에 의한 모짜르트의 <피가로의 결혼>, 소프라노 서덜랜드, 바리톤 베히터 등에 의한 모짜르트의 <돈 죠반니>, 코벤트 가든 멤버들에 의한 베르디의 <돈 카를로> 등이 손꼽힐 만한 명연반들이다.

그리고 시카고 교향악단을 지휘한 것으로 말러의 <교향곡 제1번 - 거인>, 베를리오즈의 극적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 뉴 필하모니를 지휘한 것으로는 모짜르트의 <교향곡 제40번>과 <교향곡 제41번 - 주피터> 결합반, 필하모니아 관현악단을 지휘한 것으로는 <이탈리아 오페라 서곡집> 등이 손꼽힐 만한 연주들이다.



■ 앨범

01. Bruckner, Mussorgsky, Falla / Giulini, Philharmonia
Philharmonia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02. Verdi - Falstaff / Giulini, Bruson, Panerai, Nucci, Et Al
Los Angeles Master Chorale, 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Renato Bruson (Baritone - Sir John Falstaff)
Leo Nucci (Baritone - Ford)
Katia Ricciarelli (Soprano - Alice Ford)
Barbara Hendricks (Soprano - Nannetta Ford)
Lucia Valentini-Terrani (Mezzo Soprano - Dame Quickly)
Dalmacio Gonzalez (Tenor - Fenton)
Brenda Boozer (Soprano - Dame Page)
Michael Sells (Tenor - Dr. Cajus)
Francis Egerton (Tenor - Bardolfo)
William Wildermann (Bass - Pistola)


03. Bruckner - Symphony No 9 / Giulini, SWR So Stuttgart
Southwest German Radio Symphony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04. Dvorak - Symphony No 7-9 / Carlo Maria Giulini, Et Al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Philharmonia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05. Mozart - Don Giovanni / Giulini, Wachter, Schwarzkopf, Et Al
Philharmonia Chorus, Philharmonia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Eberhard Wachter (Baritone - Don Giovanni)
Elisabeth Schwarzkopf (Soprano - Donna Elvira)
Dame Joan Sutherland (Soprano - Donna Anna)
Giuseppe Taddei (Baritone - Leporello)
Gottlob Frick (Bass - Commendatore)
Luigi Alva (Tenor - Don Ottavio)
Piero Cappuccilli (Baritone - Masetto)
Graziella Sciutti (Soprano - Zerlina)


06. Mussorgsky - Pictures At An Exhibition / Giulini, Chicago SO
Chicago Symphony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07. Rossini - Il Barbiere Di Siviglia / Giulini, Callas, Et Al
Milan Teatro alla Scala Chorus, Milan Teatro alla Scala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Melchiorre Luise (Bass - Dr. Bartolo)
Anna Maria Canali (Mezzo Soprano - Berta)
Pier Luigi Latinucci (Bass - Fiorello)
Maria Callas (Soprano - Rosina)
Tito Gobbi (Baritone - Figaro)
Luigi Alva (Tenor - Count Almaviva)
Nicola Rossi-Lemeni (Bass - Don Basilio)


08. Beethoven - Missa Solemnis, Etc / Giulini, Harper, Baker
London Philharmonic Orchestra,
New Philharmonia Chorus, New Philharmonia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Heather Harper (Soprano), Elly Ameling (Soprano)
Dame Janet Baker (Mezzo Soprano),

Robert Tear (Tenor), Theo Altmeyer (Tenor)
Hans Sotin (Bass), Marius Rintzler (Bass)


09. Verdi - Don Carlo / Giulini, Vickers, Christoff, Et Al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 Chorus,
Royal Opera House Covent Garden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Fedora Barbieri (Mezzo Soprano - Princess Eboli)
Michael Langdon (Bass - Grand Inquisitor)
Joseph Rouleau (Bass - Friar)
Jeanette Sinclair (Soprano - Tebaldo)
Edgar Evans (Tenor - Count Lerma)
Robert Allman (Tenor - Royal Herald)
Ava June (Soprano - Celestial Voice)
Gre Brouwenstijn (Soprano - Elisabetta)
Jon Vickers (Tenor - Don Carlo)
Boris Christoff (Bass - Filippo II)
Tito Gobbi (Baritone - Rodrigo)


10. Verdi - Rigoletto / Giulini, Cappuccilli, Cotrubas, Domingo, ET.AL
Vienna Philharmonic Orchestra, Vienna State Opera Chorus,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Placido Domingo (Tenor - Duke of Mantua)
Piero Cappuccilli (Baritone - Rigoletto)
Ileana Cotrubas (Soprano - Gilda)
Nicolai Ghiaurov (Bass - Sparafucile)
Elena Obraztsova (Mezzo Soprano - Maddalena)
Hanna Schwarz (Mezzo Soprano - Giovanna)
Kurt Moll (Bass - Il Conte di Monterone)
Luigi de Corato (Tenor - Marullo)
Walter Gullino (Tenor - Borsa Matteo)
Dirk Sagemuller (Baritone - Il Conte di Ceprano)
Olive Fredricks (Soprano - La Contessa)


11. Brahms, Schubert - Symphonies / Giulini, Et Al
Italian Radio Symphony Orchestra Milan,
Italian Radio Symphony Orchestra Rome,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12. Donizetti - Don Sebastiano / Giulini, Barbieri, Poggi, Et Al
Florence Maggio Musicale Chorus, Florence Maggio Musicale Orchestra,
Carlo Maria Giulini, Conductor,
Fedora Barbieri (Mezzo Soprano), Gianni Poggi (Tenor)
Giulio Neri (Bass), Dino Dondi (Baritone), Enzo Mascherini (Baritone)
Paolo Washington (Bass Baritone), Ugo Novelli (Bass)


쟈료 출처 : 네이버 블로그 '빈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