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oading...
  • Loading...
시나위
시나위는 원래 죽은 사람을 위한 굿판 음악의 하나입니다.
시나위 가락에 저승으로 간 사람을 부르는 듯한 목소리가 더해지면 "구음시나위"가 되는 것이지요. 그래서 시나위 가락은 서러움을 그 주된 정조로 하고 있습니다.

즉흥 음악인 시나위는 일정한 장단의 틀 안에서 각각의 악기가 자유스럽게 자신의 선율을 연주합니다. 장단이 풀리면 연주자들이 마음대로 자신의 선율을 가져가다가, 장구가 일정한 장단을 이끌면, 조심스럽게 약속된 음악으로 통일시켜 나갑니다.

거문고가 앞으로 나오면 나머지 악기들이 뒤로 물러나고, 대금이 나오면 장구만이 그 선율을 따라가며 다른 길로 비켜나가지 않게 지켜줍니다. 그래서 우리는 시나위 음악의 두 축을 '자유'와 '조화'의 정신이라 일컫는 것입니다.

시나위 음악에는 지휘자가 없습니다. 음악의 시작과 끝 조차 없는 것이지요. 각 악기가 자신의 연주를 하고 다른 악기들은 또 한 연주로 서로를 지탱해 줍니다. 악보가 없는 것은 물론이구요.

무대에서 감상용 음악으로 연주되는 시나위 합주는 많은 시나위 가락에서 어느 정도 미리 짜서 구성한 것으로, 중모리·굿거리·중중모리 장단을 중심으로 가락을 구성하며,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지만 피리·대금·해금·장구, 또는 여기에 가야금·거문고·아쟁·징까지 첨가되기도 하는데, 악기 편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때로는 구음(口音) 시나위라고 하여 사람의 목소리가 들어가기도 합니다. 그래서 오늘날의 시나위는 더욱 풍부한 음향을 가지게 된거지요.

시나위를 합주로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때로는 독주로 연주하기도 하며 오늘날 시나위라고 하면 흔히 감상용 시나위 또는 무용의 반주에 쓰이는 시나위를 말합니다.

시나위 합주에서는 연주자들의 즉흥성이 많이 요구됩니다. 각 악기들은 육자배기토리와 일정한 장단을 토대로 하여 각자 즉흥적인 음악을 만들어 갑니다. 그 결과로 각 악기들간에 서로 일치하지 않은 다성적인 진행이 이루어집니다.

무대에서 연주하는 시나위 합주는 그 가락을 미리 구상하여 연습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즉흥음악이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무대에서 연주하는 경우라도 연주자들이 악보에 의존하지 않으며 미리 짠 가락이라고 하더라도 무대 위에서 연주자들의 기량에 따라 어느 정도의 변주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즉흥적인 음악의 좋은 예가 되고 있습니다.

무악 반주로서의 시나위 음악은 살풀이·도살풀이·불림·진양·안진반·덩덕궁이·시님장단 등의 장단에 의한 가락을 연주하고, 감상을 위한 시나위 또는 춤의 반주를 위한 음악은 살풀이와 덩덕궁이 장단에 의한 가락을 많이 연주하고 있습니다.